1️⃣ 기대 효과
- 이원화된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불편함 해소 및 불필요한 비용 및 시간 소모 방지
- ‘펫부심’을 드러내고자하는 대상 고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반려견과의 유대감 강화
- 제작 전문 업체와 고객간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반려견 굿즈 제작에 대한 접근성 제고
2️⃣ 후속 프로젝트 및 서비스 확장 제안
- 이미지 분할 기능 분리
- 사용자가 직접 배경을 미리 제거한 사진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기능 분리
- 기능 분할 시, 아래와 같은 이점이 존재
- 분할 모델이 반려견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경우에 대한 결과 방지
- 사용자가 배경을 포함한 이미지를 변환하길 원하는 경우에 대한 선택권 제공
- 이미지 변환과 해상도 개선 기능 통합
- 저화질의 이미지가 필요한 경우는 존재하지 않음
- 현 프로젝트에서는 서버 자원 문제로 해당 기능들을 분할했으나, 실제로는 통합이 필요
- cartoonGAN 모델 성능 평가 및 개선
- 충분하지 못한 학습으로 인해 이미지 일부만 변환되는 결과가 존재, 학습 횟수를 늘려 모델의 안정성 확보 필요
- 현 프로젝트에서는 객관적인 모델 평가 지표에 대한 성능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, 최근 GAN 모델의 평가 지표 관련 연구를 참고해 객관적인 평가 필요
- 커뮤니티 및 갤러리 기능 추가
- 사용자들이 저장한 결과 이미지들을 타 플랫폼이 아닌 웹 페이지 내에서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 및 갤러리 기능을 추가
- 사용자 잔존율 향상 기대
- 반려동물 범위 확장
- 현재는 반려견에 대한 서비스만 제공 중
- 고양이, 앵무새 등 다양한 반려동물에 대해 서비스 범위 확대
- 굿즈샵들과의 연계를 통한 거래 중개 역할 강화
- 현재는 단순히 업체 목록을 제공하는 수준
- 각 업체와의 연계를 통해 범위를 확장시켜, 단순 목록 제공이 아닌 굿즈 제작 및 결제까지 페이지 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웹 페이지 개선
- 업체별 리뷰 및 평점 기능을 구현해 사용자와 굿즈 업체 간 의사소통 채널 형성 기반 마련
- 부가 서비스 제공
- 아래 예시와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 추가 제공
- 그림 이모티콘화
- 유명 작가 및 굿즈샵과의 연계를 통한 자체 제작 굿즈 판매
-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반려견을 이용한 굿즈를 만들어 거래
- 어플리케이션 제작
- 웹이 아닌 앱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제작